경제/경제 이슈
사회 이슈로 보는 경제 용어 'B2B'
.Chapter
2020. 11. 28. 11:24
728x90
"정부, 공공 B2B 플랫폼 통합해 중소기업 수출 돕는다"
국내 공공 B2B 플랫폼으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고비즈코리아’, 코트라의 ‘바이코리아’, 무역협회의 ‘트레이드코리아’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들의 수출을 높이기 위해서 정부는 분할된 국내 플랫폼 체제를 내년 중에 통합하고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운영할 예정입니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수출 증가 목표로 B2B 플랫폼을 통합할 예정입니다. 대한민국이 수출국인 만큼 중소기업들의 수출 향상을 도울 수 있다면 미래가치가 있는 중소기업들이 빠르게 부상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겠네요.
아직은 아마존비즈니스, 알리바바 등 대형 글로벌 B2B 플랫폼을 따라갈 수 없겠지만, 천천히 기반을 다지면 언젠가는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B2B’ 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기업이 기업을 대상으로 각종 물품을 판매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기업과 기업 간의 인터넷 거래를 의미하고 B2C, C2C, B2G, G2C등 거래하는 대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요.
여기서 B . C . G 의 의미는 B(business, 기업) C(customer, 소비자) G(government, 정부) 중간 숫자 2는 to를 간략히 줄여 중간에 전치사의 의미를 넣어준 거예요.
쉽게 설명한다면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 싶은데 매장까지 가야 하는 기름값이나 직접 찾아봐야 하는 시간이 소요되잖아요? 그래서 이러한 번거로움과 시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인터넷 거래가 생기게 되었고요.
이러한 경우는 인터넷 쇼핑몰 기업과 고객 간의 거래 ( B2C ) 로 볼 수 있겠네요.
기업으로서는 업체별로 구매하고자 하는 재료를 비교하며 검수해야 하는 시간과 번거로움 대량의 구매 시 유통비용 등을 인터넷을 통해 절감할 수 있는 수단이네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