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HAPTER
.

경제/경제 이슈 11

더닝 크루거 효과 - Dunning–Kruger effect

더닝 크루거 효과 - Dunning–Kruger effect 경제에 관련된 용어는 아니지만 저의 삶의 가치관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규칙 중 하나로 여겨 많은 분들에게 알리고 싶어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란 사회심리학 교수 데이비드 더닝과 대학원생 저스틴 크루거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이론입니다. 실험의 결과는 조금 아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반면에 적당히 아는 사람들은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필자는 취미로 웨이트 운동을 경험하면서 처음 느끼게 되었는데 웨이트 초보 시절에는 이것저것 공부도 많이 하고 몸도 금방 발전하니 운동을 처음 하는 주변 지인들에게 당당하게 이게 맞다 저건 틀리다 알려주던 시절이 있었고 운동 구력이 늘어남에 따라 웨이트라는 ..

사회 이슈로 보는 경제 용어 '뉴딜 정책'

“ K-뉴딜 - 한국판 뉴딜 정책 추진 투자와 함께 금융 지원” 코로나바이러스-19 유행으로 인한 경기침체와 실업률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인 정부가 경제 부흥 정책 및 국가 발전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현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추진하면서 2025년까지 5년간 160조원 규모를 투자해 디지털·그린 뉴딜을 추진해 190만 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코로나 바이로스로 인해 경기가 침체되고 일자리가 줄어들어 정부에서 미국에서 실시한 뉴딜 정책을 한국판 뉴딜 정책으로 실시하는 중입니다. 정책의 성공으로 취업난이 해소되고 새로운 세계적인 기업들이 창출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뉴딜 정책 (new deal policy) “1929년 대공황의 극복을 위해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1..

사회 이슈로 보는 경제 용어 '리쇼어링 ( reshoring )'

“美대통령 바이든 전 세계 리쇼어링 (reshoring) 추세에 합류” 코로나 사태로 해외 국가에 생산시설이 있는 기업들이 운영에 차질이 생기면서 여러 지역에 위치한 생산기지들을 본국으로 돌아오는 리쇼어링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Remaking America’정책에 따라 제조업은 미국 국내에 있어야 하는 오바마 대통령의 리쇼어링 정책을 이후로 보호무역주의를 트럼프 정부까지 이어왔습니다. 바이든의 정책 중 하나인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을 펼치고 있는 바이든 정부 또한 비슷한 형세를 이어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세계경제시장이 신흥국 및 유럽 경제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달러가 계속 약세할 것이라는 이론 주장이 나오는데 미국이 내수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국외에 있는 기업들이 국내로 들어오는 미국 상황에서 비..

사회 이슈로 보는 경제 용어 '경제고통지수'

‘실업률+물가상승률’ 경제고통지수 00년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 매년 경기가 힘들 때 나오는 많은 이슈에서 경제고통지수라는 용어를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경제고통지수 무슨 의미이며 현재 대한민국 경제고통지수는 몇점이나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고통지수 (economic misery index) “정해진 기간안에서 실업률 + 물가상승률(인플레율)을 합산하여 계산하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국민들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경제 속에서 느끼고 있는 고통을 숫자로 확인하기 위해서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최초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 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다면 실업률 3.7% 과 물가상승률 0.6% 둘을 더한 4.3이 되겠네요. 물가가 상승하면 사람들은 전보다 더 비싼 가격으로 소비를 해야..

사회 이슈로 보는 경제 용어 '경제활동인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42086625969328&mediaCodeNo=257&OutLnkChk=Y 초저출산·고령화에 대한민국 인구 9개월새 1.4만명 감소 이미지투데이 제공.[세종=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출생아 수가 전년 동기 대비 58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지속적인 출생아 감소로 자연인구(출생아수-사망자수)는 11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사상 첫 www.edaily.co.kr “초저출산·고령화에 대한민국 인구 9개월새 1.4만명 감소” ○ '세계 꼴찌' 작년 출산율 0.92명 보다 감소 전망 대한민국 출산율은 지난해 기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내 최저였다. ○ 지난 8월엔 경제활동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여성·노인·외국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