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HAPTER
.

투자 19

주식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 매출액, 매출원가 )

매출액 sales account 제품, 상품을 판매하고 얻은 이익 제품 판매와 다르게 경상적 활동 즉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금 또는 금융에서 발생하는 비용 등 영업 외 수익이나 특별이익 도 매출액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매출원가 cost of sales 제품이나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재료가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원료 구입 비용이나 부품을 구입하는 비용이 매출원가로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출액에 매출원가를 차감하면 매출총이익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투자/주식용어 2021.01.03

주식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 당기순이익 / NI )

당기순이익 ( NI - Net 순 Income 수익 )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총수익에서 수익을 만들기 위한 총비용을 차감한 순수익을 말합니다. 즉 내가 열심히 일해서 오로지 내가 쓰고 싶은 곳에 쓸 수 있는 돈입니다. 주주는 이러한 돈을 직원들의 보너스나 주주들의 배당금을 줄 수 도 있고, 다음에 있을 경영 위기 상황이나 기술 투자를 위해 회사의 잉여자금으로 남겨 놓을 수도 있습니다. 당기순이익 계산식 계산식을 알아보겠습니다. ( 회계용어를 통일 좀 했으면 좋겠다. 부르는 게 저마다 다르니 왜 그렇게 똑같은 말을 나눠서 헷갈리게 표현하는지 모르겠다. 아마 본인들도 모를 것 같다. ) 근본적으로 당기순이익은 ( 총수익-총비용 )으로 이해함을 기준을 잡고 가자 이것만 이해해도 훌륭하지만 세부사항 ..

투자/주식용어 2021.01.02

주식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 EBITDA 세전영업이익 )

손익계산서 : 일정한 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 성과 돈을 무엇으로 어떻게 얼마큼 벌었는지 손익계산서에 나타내며 기업의 이익의 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 포괄 항목 : 매출 총 이익, 영업손익, 경상손익, 당기순익, 법인세 비용 차감전 당기순익, 판관비 여기에 영업 현금 흐름을 파악하는 EBITDA를 포함하기도 한다. 세전 영업이익 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Earnings : 영업이익 Interes : 이자비용 Taxes : 세금(법인세비용)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감가상각비용 감가상각비용 = 유형자산(건물, 토지, 생산 시설 등)을 정해진 사용기간으로 나..

투자/주식용어 2021.01.01

주식 재무제표 ( 주가 및 규모 - 부채총계)

부채총계 : 기업의 운영 자금 조달을 위해 채권자에게 빌려온 돈 대출에 비유한다면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연 또는 달마다 이자가 나가고 N 년 뒤에 원금을 상환해야 합니다. 기업이 돈이 필요해 타인에게 돈을 빌려 연마다 이자를 내고 상환일에 원금을 갚는 것입니다.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자금을 빌려오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주식발행으로 주주에게 빌려오는 자금 2. 주주 이외의 다른 사람 3자에게 즉 채권자에게 빌려오는 돈 주주에게 빌려오는 돈을 자기 자본이라고 하며 채권자에게 빌려오는 돈을 타인자본이라 지칭합니다. 부채는 타인자본에 속하며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고정부채)로 1년 만기 상환 기준으로 나눠집니다. 유동부채 : 만기가 1년 이내로 상환을 하는 부채 단기차입금, 매입채무,..

투자/주식용어 2020.12.30

주식 재무제표 ( 주가 및 규모 - Enterprise Valu 기업가치 )

EV ( Enerprise value ) 기업가치 기업 매수자 관점에서 보는 기업의 가치 -> 투자하기에 얼마나 적당한가의 판단 가능 기업이 M&A 진행 시에 해당 인수 기업의 적정 가격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풀이한다면 주식을 사는 입장에서의 투자자는 해당 기업의 자본에 해당하는 주주가 되어 지분을 갖게 되는 것이지만 인수를 목적으로 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기업의 자본과 빚 즉 자산을 모두 가져가는 입장 차이가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기 전 기업의 가치를 확인할 때 PER를 참고하는데 PER 단점을 보완한 지표가 EV/EBITDA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PER에 관련된 포스팅에서 좀 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계산식 EV = 시가총액 + 순부채 순부채=순차입금=( 총 차입금-현금 및 ..

투자/주식용어 2020.12.29

주식 재무제표 ( 주가 및 규모 - 자산총계 / 자본총계 )

자산총계 자산이란 경제적인 가치가 있는 재화이며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돈, 부동산, 주식 등 하나의 주체가 가지고 있는 많이 있으면 다른 사람이 좋아할 만한 것들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자산의 합은 부채와 자본의 합으로 간단하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자산(100억) = 부채(30억) + 자본(70억) 자본총계 자산 = 자본 + 부채가 된다면 자본 = 자산 - 부채가 되겠네요. 자본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투자금과 주주들에게 빌린 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자본조정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본금은 발행 주식수에 액면가를 곱한 값 발행주(100주) × 액면가(100원) = 자본금(10,000원) 여기에 영업 이익이나 주식..

투자/주식용어 2020.12.23